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할 사업주의 의무는 편의상 크게 7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(산업안전보건법 2장~8장 참조).
1. 안전보건교육을 할 의무
2. 산재방지조치(“유해위험방지조치”)를 할 의무
3. 유해위험물체에 조치를 할 의무
4. 유해위험물질에 조치를 할 의무
5. 근로자의 건강을 관리할 의무
6. 안전보건관리체제를 갖출 의무
7.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 근로자의 산재를 예방할 의무
*이 정보는 2023.1.9. 현재의 법률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.
'10절 생명과 건강의 보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-3-4 중대재해를 막기 위해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해야 할 조치 (v.1.3) (0) | 2023.01.10 |
---|---|
10-3-3 산재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 작업을 중지시킬 의무 (v.1.4) (0) | 2023.01.10 |
10-3-2 중대재해가 발생한 때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해야 할 조치 (v.1.3) (0) | 2023.01.10 |
10-3-1 산재방지조치("유해위험방지조치")의 분류 (v.1.2) (0) | 2023.01.10 |
10-2 안전보건교육을 할 의무 (v.1.2) (0) | 2023.01.09 |